전체검색 조건

서초구의회▼

9대▼

337회▼

본회의▼

제337회 서초구의회 (2차정례회) 본회의 제1차▼

관련 첨부 파일

관련의안

의안명
발의일
발의자
발의의원
별첨자료
본회의
  • [본회의]
  • 제337회 서초구의회(2차정례회)
  • 본회의 회의록
  • 제1차
  • 서초구의회

일       시

2024년 11월 15일 (금) 오전 10시

장       소

본회의장

의사일정

1. 회기결정의 건 2.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 3.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4.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5.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 6.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7.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8.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9.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 10.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11.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12.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 13. 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 14. 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 15. 휴회의 건

부의된 안건

○ 5분자유발언(김성주의원) ○ 5분자유발언(신정태의원) ○ 5분자유발언(박재형의원) ○ 5분자유발언(강여정의원) ○ 5분자유발언(안종숙의원) 1. 회기결정의 건 2.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 3.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4.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5.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이형준의원 외 4명 공동발의) 6.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7.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8.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9.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 10.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11.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12.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 13. 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 14. 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 15. 휴회의 건
10시 37분 개의
의장 고선재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337회 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회의에 앞서 김성주의원, 신정태의원, 박재형의원, 강여정의원, 안종숙의원으로부터 5분자유발언이 신청되었기에「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 회의규칙 제29조」에 따라 5분자유발언을 듣겠습니다.
먼저 김성주의원 나오셔서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 발언
○ 5분자유발언(김성주의원)
김성주 의원
존경하는 41만 서초구민 여러분! 고선재 의장님과 동료 의원님, 관계공무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사랑과 봉사를 실천하고, 선한 영향력으로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실행하는 서초2동·4동 김성주의원입니다.
서초구의 민간위탁시설은 2024회계연도를 기준으로 국·공립어린이집 외에 67개의 사무를 운영중이며, 약 984억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습니다.
민간위탁은 민간인 전문성을 활용하여 체육·교육·사회복지시설 등에 효율적인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아울러, 저출생과 산업전반의 성장악화로 재정의 세수확보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자치시대 분권의 강화 등의 변곡점을 마주한 현재, 매년 증가하는 민간위탁시설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새로운 대안과 개선책이 필요합니다.
2023년 서울시는 무분별하게 증가한 민간위탁 사업의 관리지침을 개정하여 불공정한 관행과 예산을 낭비한 민간위탁업체를 퇴출시키고 850억의 예산을 절감하는 성과를 남겼다는 언론보도가 있었습니다.
이에 본의원은 서초구 자치행정의 혁신을 위하여 민간위탁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이미 드렸습니다.
그러나 제도적 개선은 물론 중·장기적인 계획의 방향성은 여전히 미흡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신뢰받는 위탁의 투명성 제고와 관리·감독을 촉구드립니다.
현재 서초구는「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민간위탁 사업체에 대한 회계감사를 연간 사업비 5억 이상인 위탁사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민간위탁 시설 운영의 투명성을 위하여 연간 사업비 감사 범위를 1억 이상의 위탁사업으로 확대하는 시행규칙 개정을 요청드립니다.
아울러 민간위탁의 회계감사와 성과평가를 감사할 독립된 외부감사인의 범위를 세무사와 세무법인으로 확대하는 조례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지난 10월 대법원은「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세무사와 세무법인도 회계감사를 이행할 수 있는 조항이 적법하다는 판단을 하였습니다.
아울러 경기도의회에서도 지난 8일 민간위탁 사업비 결산감사인에 세무사와 세무법인을 포함하는 조례안을 발의하였습니다. 최고의 행정을 자부하는 서초구도 민간위탁 감사 대상과 감사인 범위를 확대하여 회계 투명성을 제고해야 될 것입니다.
저출생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와 함께 역동성 있는 자치행정의 쇄신과 혁신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원칙과 신뢰, 미래비전을 선도하며 구민의 편익과 복지 증진을 위한 것은 구의회의 역할일 것입니다. 관련 부서인 기획예산과는 향후 계획을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5분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고선재
김성주의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신정태의원 나오셔서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 발언
○ 5분자유발언(신정태의원)
신정태 의원
존경하는 41만 서초구민 여러분, 고선재 의장님과 선배·동료 의원 여러분, 전성수 구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잠원동, 반포1·3·4동을 지역구로 둔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정태의원입니다.
오늘 본의원은 경력단절여성의 인식 전환을 촉구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9월 경제활동인구 조사에 따르면 20대 남성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각각 61.5%와 66.8%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상황은 달라집니다. 3·40대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90%에서 92%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여성은 68%에서 73%로 남성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며,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결혼, 임신, 출산, 육아와 같은 개인적, 가족적 요인들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작년 4월 기준 15세에서 54세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단절여성은 134만 9000명으로 전체 기혼여성 가운데 1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육아 때문에 직장을 그만뒀다고 답한 여성은 56만 7000명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했습니다. 이제는 육아 때문이 아닌 육아를 위한 사회가 되어야 할 시기입니다. 또한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배려가 아닌 경력보유여성에 대한 존중으로 인식이 전환돼야 합니다.
지난 8월 이연희 국회의원이 발의한 「여성경제활동법」 개정안에서도 경력단절이라는 표현 자체가 육아, 가사 등의 돌봄 기간을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를 조성함과 동시에 경력단절여성을 사회적으로 위축시킨다며 경력보유로 용어를 대체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기도 했습니다. 또한 2021년 11월 성동구에서는 전국 최초로 경력보유여성을 규정한 조례를 제정하여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최대 2년까지 경력인정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추가로 경력보유여성 경력인증서를 공식적으로 채택하는 12개의 기업과 협약을 맺어 돌봄 노동 후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도우며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현재 서초구에서 경단녀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조례는 3개가 있으며, 이 조례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추상적인 사업계획과 상투적인 표현들로 구성되어 있어 처음 조례를 발의했던 상징성은 모호해졌으며 실제적 변화를 담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와 서초여성가족플라자에서 맞춤형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사업 추진과 더불어 사회적 인식 변화와 노력도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본의원은 경력단절이라는 의미가 더 이상 배려가 아닌 경력보유로서 존중받을 수 있는 사회로 바뀌는 시점이 도래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조례안 개정을 통해 돌봄 노동 지원과 경력보유여성의 경제활동을 지원할 것을 촉구합니다. 또한 개정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을 확대·시행해야 할 것입니다.
경력보유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는 비단 여성들만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작게는 한 가정의 경제력 문제, 크게는 저출생 문제와 직면한 우리 사회를 위한 것입니다. 시대가 변하고 있습니다. 남편과 아내의 역할을 나눠 육아와 경제활동 등 서로 할 일을 미루고 지적하는 것이 아닌 함께 육아하고 함께 경제활동을 하며 부부로서 존중하며 지내는 사회를 만드는 데 서초구가 앞장서기를 희망합니다.
이상 5분자유발언을 마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고선재
신정태의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박재형의원 나오셔서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 발언
○ 5분자유발언(박재형의원)
박재형 의원
존경하는 41만 서초구민 여러분, 고선재 의장님을 비롯한 동료 의원님 여러분, 전성수 구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반포본동·2동, 방배본동·1동·4동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박재형의원입니다.
최근 지방자치단체 곳곳에서 인공지능 AI를 이용한 공공행정 서비스가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광역도시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만족도 높은 AI 행정서비스가 개발 및 활용되며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에 본의원은 서초구의회연구단체인 서초 AI행정과 규제방안 연구의 대표를 맡아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AI행정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펼쳐왔습니다. 오늘 그 일환으로 AI를 활용한 주차단속시스템 적극 도입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오늘 전성수 구청장님께서 시정연설에서 30대 구축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그런 보여주기식 시범운영이 아니라 적극 도입이 우리 서초구에도 필요합니다.
AI 주차단속시스템이란 주차면에 설치된 카메라로 차량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불법주차를 단속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에는 민원을 받고 사람이 직접 가서 단속해야 하는 시스템이었지만 AI를 활용한 주차단속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365일 상시로 단속하여 사전 안내방송, 과태료 부과, 견인 요청까지 원스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원 건수도 급감할 뿐만 아니라 인력 단축의 효과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서초구의 불법주차 문제는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특히 거주자우선주차공간은 불법주·정차 카메라에 단속되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하여 이른바 얌체운전자 때문에 애꿎은 이용주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올해 서초구에 거주자우선주차구역의 부정 주차 단속 요청은 월평균 2000여건에 달하며 실제 과징금 부과 건수는 무려 1만여건입니다. 인력의 한계로 모든 부정 주차를 단속하지 못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실제로는 훨씬 더 심각한 사항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자치구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강남구는 이 AI 주차단속시스템을 전국에서 최초로 도입하였습니다. 특히 강남구에서는 직접 개발부터 도입까지 신속하게 추진하여 월 5000만원, 연 6억원 이상의 수익 증대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개발에도 참여하여 설치비도 들지 않았고 지적재산권 지분율도 10% 확보하였습니다. 강남구는 최초로 개발하여 도입한 만큼 두 달 시범운영을 하였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올해 약 200대를 설치했고 내년에는 300대 추가 설치 예정입니다. 그러면 총 500대의 단속 시스템을 설치하게 됩니다.
이렇게 AI 기술혁신은 우리의 일상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타구에서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확산하고 있는 만큼 우리 서초구도 구민을 위한 AI 행정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선도적인 AI 행정도시로 거듭나야 합니다. 그저 보여주기식으로 시범운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게 도입하여 주민분들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를 펼치기 바랍니다.
끝으로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우리가 최초가 되지 않으면 어떻습니까? 그저 구민들의 삶의 질이 조금이라도 나아진다면 적극 행정을 하면 됩니다. 우리 서초구가 AI 행정도시를 선도하는 자치구가 되기를 기대하며 이상 5분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고선재
박재형의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강여정의원 나오셔서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 발언
○ 5분자유발언(강여정의원)
강여정 의원
존경하는 41만 서초구민 여러분, 고선재 의장님을 비롯한 동료 의원님 여러분, 전성수 구청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서초1·3동, 방배2·3동을 지역구로 둔 더불어민주당 소속 강여정의원입니다.
오늘 본의원은 서초종합체육관의 민간위탁 운영 관련 문제점을 지적하며 서초구의 공공체육시설은 서초구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운영되고 관리되어야 함을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총 258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2018년 12월에 개관한 서초종합체육관은 현 수탁업체인 주식회사 스포월드와 2021년 12월 1일부터 올해인 2024년 11월 30일까지 위탁운영 계약을 체결합니다.
주식회사 스포월드는 2013년부터 서초동에 위치한 서일스포츠센터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2022년 8월 폭우로 인해 결국 운영을 중단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센터회원들에 대한 회비 환불 지연 문제가 발생하였고 결국 피해회원들은 경찰서, 카드사, 서초구청에 민원을 제기하고 소비자원에 구제신청까지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구제신청을 했음에도 상황이 나아지질 않자 이후 동일한 업체가 서초종합체육관을 운영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서초종합체육관을 대상으로 다시 구제를 신청하여 겨우 환불받은 회원들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서초종합체육관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서초구민을 위한 무료 미술전시회를 개최한다는 명목으로 지하 1층과 지상 1층을 갤러리로 운영하며 예술작품을 판매해 수익을 창출하였습니다. 이것이 서초구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것입니까?
본의원은 체육진흥과에서 수탁업체에 대한 관리·감독을 제대로 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심지어 해당 부서에서는 이런 문제를 모두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현 수탁업체와 민간위탁 재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제15조의2제6항에 따르면 “체육시설 수탁자 선정심의위원회는 위탁계약 연장 신청 시 위탁종료 60일 전까지 운용 실적을 심사·평가하여 기간 연장을 결정하여야 한다.”라고 강행규정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위탁종료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지금, 해당 심의위원회는 개최되었을까요? 안타깝지만 현재까지 해당 심의위원회는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본의원이 해당 부서에 관련 문제를 제기한 이후 위탁기간을 일시 연장해 놓은 상황입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제11조제3항에서는 “구청장은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수탁기관과 협의하여 1회에 한하여 90일의 범위에서 위탁 기간을 일시 연장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심의위원회는 왜 열리지 않고 있으며 위탁기간을 연장할 수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사유는 무엇입니까? 이는 해당 부서인 체육진흥과에서 절차적 타당성 및 법적 준수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이미 민간위탁 재계약 심사 과정에서 공정성과 신뢰성을 잃은 것입니다.
물론 현 수탁업체도 두 번의 유찰 끝에 어렵게 선정된 업체라는 부서의 입장을 공감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서초종합체육관은 총 258억원이라는 거액의 예산이 투입되어 설립되었습니다. 이 시설은 서초구민의 오랜 숙원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문화체육공간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큰 문제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육진흥과는 왜 재위탁공고를 내지 않고 현 수탁업체와 민간위탁 재계약을 무리하게 추진하려는 것입니까?
이에 본의원은 서초종합체육관의 민간위탁 재계약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운영 당시 수탁업체에 대한 부서의 지도·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공공체육시설 위탁 및 운영에 관한 문제는 비단 서초종합체육관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부디 체육진흥과에서 우리 서초구민이 서초구의 대표 공공체육시설 중 하나인 서초종합체육관을 믿고 이용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른 민간위탁 재위탁으로 진행해 주실 것을 ······.
(발언시간제한 초과로 마이크 중단)

(마이크 중단 이후 계속 발언한 부분)
강력히 촉구합니다.
이상으로 5분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고선재
강여정의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안종숙의원 나오셔서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유 발언
○ 5분자유발언(안종숙의원)
안종숙 의원
존경하는 41만 서초구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지역구 더불어민주당 안종숙의원입니다.
본의원은 전 세계 지속 과제인 기후위기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기금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발언하고자 합니다.
기후위기는 인류가 직면한 시급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폭염, 폭설, 산불 등 자연재해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넘어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나아가 국가 경제에 위기 상황을 초래합니다.
특히 제조업의 비중이 크고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 소비량이 높은 우리나라도 최근 30년 사이 평균 온도가 1.4℃ 상승하며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이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2015년 파리 기후변화협정을 통해 지구 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로 제한할 것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세계적 흐름에 맞춰 2020년 국가 비전으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바 있습니다.
서울시도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 2033년까지 서울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 줄인다는 목표와 함께 기후예산제도를 도입하고 기후대응기금을 설치하여 자치구와 협력체계 강화 및 시민참여 정책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경기도 광명시의 경우 기후위기대응기금을 조성하고 적극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펼친 결과 3년 만에 탄소 배출량 16%를 급감시키는 성과를 이뤘다고 합니다.
우리 구의 전력 소비량은 서울 25개 자치구 중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입니다. 서초구는 2023년「서울특별시 서초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를 제정하고 서초구 탄소중립지원센터를 발족하여 대응하고 있지만 미흡한 수준입니다.
이에 본의원은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서초구 기후변화 대응기금을 조성할 것을 제안합니다.
기금의 설치를 통해 우리 구 특성에 맞는 기후변화 대응 시책을 수립하고 시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함으로써 장기적 운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본의원의 이번 제안으로 우리 구가 탄소중립 실천에 앞장서고 기후변화 대응사업 추진에 더 진일보할 수 있는 적극 행정을 기대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고선재
안종숙의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으로 의회사무국장의 보고가 있겠습니다.
조성덕 의회사무국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의회사무국장 조성덕
안녕하십니까? 의회사무국장 조성덕입니다.
먼저, 제337회 제2차 정례회 회의소집 경과를 보고드리겠습니다.
「지방자치법」제53조 규정에 따라 2024년 10월 23일 집회공고를 하고, 오늘 제2차 정례회를 개회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의안접수 및 철회 내역입니다.
의안 접수내역은 2024년 11월 5일 이형준의원 외 4명이 발의한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 등 27건이며, 소관 상임위원회로 각각 회부하였습니다.
2024년 11월 11일, 발의자인 강여정의원으로부터 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 교섭단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에 대한 철회 요청이 제출되어 해당 조례안이 철회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역은 오늘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집행부 보고사항입니다.
서초구청장으로부터 2024년도 제12차 세입·세출 간주처리 보고와 서초성심노인복지센터(주야간보호) 수탁기관 선정결과 보고, 서초·방배유스센터 및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민간위탁 적격자심의위원회 결과 보고 및 2024년 제1회 용역과제심의위원회 심의결과 제출이 있었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ㅇ보고(의안 접수내역)
(부록에 실음)

의장 고선재
조성덕 의회사무국장 수고하셨습니다.
안건
1. 회기결정의 건
11시 05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1항 회기결정의 건을 상정합니다.
이번 회기는 11월 15일부터 12월 13일까지 29일간 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안건
2.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
11시 06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2항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을 상정합니다.
이번 회기의 회의록 서명의원은 이현숙의원, 김성주의원 이상 두 분을 선출하고자 합니다.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안건
3.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4.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11시 07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3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 의사일정 제4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을 일괄 상정합니다.
이재진 밝은미래국장 나오셔서 제안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밝은미래국장 이재진
안녕하십니까? 밝은미래국장 이재진입니다.
서경란 기획재정국장이 공무국외출장 중인 관계로 밝은미래국장이 제안설명드리겠습니다.
존경하는 고선재 의장님과 여러 의원님을 모시고, 2025년도 세입·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고 의원님들의 제안과 고견을 구정에 반영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갖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2025년도 서초구 예산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25년 예산안의 총규모는 올해보다 3.18% 증가한 8912억원으로 일반회계 8462억원, 특별회계 450억원입니다.
이어서 세입예산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세입예산안은 총 8462억원으로 올해 당초예산 8223억원 대비 239억원, 2.91% 증가하였습니다.
일반회계 세입 중 지방세 세입은 올해 대비 103억원이 증가하여 3408억원이며, 일반회계 전체 세입의 40.28%를 차지합니다. 세외수입은 공공예금 이자수입 등 경상적·임시적 세외수입 감소로 올해 대비 22억원 감소한 1045억원입니다. 지방교부세와 조정교부금 등은 202억원을, 국시비보조금은 올해 대비 31억원 늘어난 2951억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보전수입인 순세계잉여금의 경우, 올해 대비 10.49% 58억원이 감소한 500억원입니다. 특별회계 세입예산안은 총 450억원으로 올해 당초예산 415억원 대비 35억원, 8.45% 증가하였습니다.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 3억원, 건축안전 특별회계 10억원, 주차장 특별회계 437억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2025년도 세출예산안에 대해 총괄적인 내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일반회계 기능별 세출예산안입니다.
일반공공행정 566억 9065만원, 공공질서 및 안전 40억 800만원, 교육 175억 4964만원, 문화 및 관광 284억 2235만원, 환경 659억 4675만원, 사회복지 3922억 1145만원, 보건 278억 4306만원, 농림해양수산 27억 4145만원,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96억 1051만원, 교통 및 물류 237억 3965만원, 국토 및 지역개발 487억 1298만원, 예비비 14억 2668만원, 기타 1673억 1582만원 등입니다.
그리고 각 기능별 주요 편성 내용은 일반공공행정 분야의 경우 2024년 당초예산 대비 3.42%인 18억 7615만원이 증가한 566억 9065만원으로 쾌적한 구청사 운영 45억 4183만원, 동행정 운영 44억 6794만원,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 10억 8901만원 등입니다.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의 경우 2024년 당초예산 대비 28.14%인 15억 6922만원이 감소한 40억 800만원으로 주요내역은 재난예방 및 관리능력 강화 3억 6978만원, 서초구민 안전보험 2억 2500만원, 재난관리기금 전출금 18억원 등입니다.
교육 분야는 2024년 당초예산 대비 2.73%인 4억 9242만원이 감소한 175억 4964만원으로 주요내역으로는 학교 급식 지원 80억 5840만원, 초중등 교육경비보조금 지원 40억원, 권역별 교육지원센터 운영 10억 4373만원 등입니다.
문화 및 관광 분야는 2024년 당초예산 대비 35.78%인 74억 8963만원이 증가한 284억 2235만원으로 주요내역은 도서관 운영 지원 95억 4935만원, 서초문화재단 운영지원 39억 7764만원, 공공체육시설 유지관리 운영 16억 3925만원 등입니다.
환경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3.12%인 19억 9655만원이 증가한 659억 4675만원으로 주요내역은 재활용 추진 160억 8850만원, 가로청소 및 뒷골목 청소 지원 150억 3441만원, 음식물류 폐기물 재활용 추진 111억 8489만원, 산지형공원 조성 및 유지관리 31억 1159만원 등입니다.
이어서 사회복지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1.56%인 60억 3903만원이 증가한 3922억 1145만원으로 주요사업의 내역을 말씀드리면, 서초 아이돌보미·손주돌보미 지원 50억 7654만원, 기초수급자 생계·주거급여 지원 458억 9371만원, 부모급여·아동수당 지원 438억 2905만원, 기초연금사업 660억 8164만원 등이며, 보건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23.63%인 53억 2218만원이 증가한 278억 4306만원으로 주요내역은 국가예방접종 실시 54억 2501만원,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 26억 4104만원, 난임부부 지원 22억 1539만원 등입니다.
농림해양수산 분야의 경우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10.29%인 2억 5569만원이 증가한 27억 4145만원입니다.
주요내역은 산림병해충방제 9억 5115만원, 서초동물사랑센터 3억 5322만원 등이며,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6.93%인 7억 1557만원이 감소한 96억 1051만원으로 주요내역은 서초사랑상품권 운영 32억 8800만원, 골목상권 활성화 20억 2316만원, 서초형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 13억 3000만원, 중소상공인 초스피드 대출 10억원 140만원 등이며, 교통 및 물류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6.09%인 13억 6185만원이 증가한 237억 3965만원으로, 주요내역은 조명시설물 운영관리 23억 3400만원 안전하고 깨끗한 골목길 개선사업 17억 9966만원, 열선 설치공사 11억 7000만원 등입니다.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는 2024년도 당초예산 대비 14.93%인 63억 2659만원이 증가한 487억 1298만원으로 주요내역은 녹지대·가로수 조성 및 유지관리 89억 7117만원, 하수시설물 유지보수 49억 8055만원, 하천시설물 유지관리 34억 2492만원 등입니다.
마지막으로 일반회계 예비비는 2024년 당초예산 대비 88.9%인 114억 2768만원이 감소한 14억 2668만원입니다.
다음은 특별회계 소관입니다.
의료급여기금 특별회계는 사회복지 분야 등에 3억 1411만원, 건축안전 특별회계는 국토 및 지역개발 등에 6억 6493만원, 주차장 특별회계는 교통 및 물류 등에 387억 4444만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중 주차장 특별회계의 주요 세출내역을 보면 양재천근린공원 공영주차장 신축 64억 7475만원, 구룡 공영주차장 신축 122억 8728만원, 서래마을 공영주차장 환경개선공사 25억 4558만원, 예비비 4억원, 적립금 76억 1023만원 등입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고,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금은 특정한 행정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지방자치법과 각 개별 법령을 근거로 제정한 조례에 의해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에 우리 구에서는 총 15개 기금을 운용할 계획입니다.
2024년도 말 현재 우리 구 기금 조성액은 3492억 5603만원이며, 2025년도 말 조성액은 2024년 대비 4.95% 감소한 3319억 7899만원입니다.
기금별 주요내역은 회계·기금 간 여유자금의 예탁·예수를 통해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통합계정은 일반회계 예탁금 130억원, 일반회계 예수금 원리금 상환 193억 8380만원, 예치금 1037억 8908만원, 재정안정 시 여유자금을 사전 확보하여 긴급한 재정지출 및 재정여건 악화에 대비하기 위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재정안정화계정은 일반회계 전출금 33억원, 예치금 16억 5456만원, 서초구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진흥기금은 서초음악문화지구 활성화, 문화행사 지원 등 사업비 44억 9025만원, 예치금 20억 3792만원, 고향사랑 기부금의 효율적인 관리·운용을 위한 고향사랑기금은 고향사랑기부제 홍보물 제작, 답례품 구매 등 4770만원, 예치금 2억 1602만원, 서초구 체육시설의 재건립, 관리, 운영을 위한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은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및 장비 구매 11억 3500만원, 예치금 14억 7536만원, 관내 중소기업 경영 안정을 위해 설치된 중소기업육성기금은 융자 지원 및 대출이자 지원 64억 9500만원, 예치금 12억 6745만원, 예기치 못한 재난 등 위기 상황에 직면한 구민의 생활안정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기금 사회복지진흥계정은 저소득주민 지원 등 3000만원, 예치금 2억 8741만원, 저소득층의 자활을 지원하는 사회복지기금 자활계정은 자활인프라 조성 및 자활사업 지원 1억 8000만원, 예치금 10억 5234만원, 장애인 복지증진과 생활안정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기금 장애인복지계정은 장애인 복지시설 기능보강 및 복지사업 공모 등 1억 1520만원, 예치금 10억 5107만원, 어르신들의 자립기반 조성과 복지증진을 위한 사회복지기금 노인복지계정은 노인 능력개발 등 지원 6638만원, 예치금 6억 6044만원,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및 보육정책사업 지원을 위한 보육기금은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사업비 8억 525만원, 보육정책사업 지원 29억 7851만원, 예치금 6억 9636만원,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복지증진 등 양성평등 실현 지원을 위한 양성평등기금은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사업 지원 등 2억 6800만원, 예치금 26억 3719만원, 환경공무관 사기진작과 복지증진을 위한 환경공무관자녀학자금대여기금은 융자금 지원 8080만원, 예치금 6억 7598만원, 향후 소각시설 및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폐기물처리시설설치기금은 예치금 291억 2381만원, 옥외광고물 개선 및 정비 등을 위한 옥외광고발전기금은 광고물 정비 및 개선 사업비 8억 9690만원, 예치금 18억 2306만원, 재난 및 안전관리에 대비한 재난관리기금은 일반회계 전입금 18억원, 재난 사전대비 및 긴급복구 사업 등 25억 400만원, 예치금 145억 5437만원, 도로 환경개선을 위한 도로굴착복구기금은 도로굴착복구 공사비 등 93억 4576만원, 예치금 97억 553만원, 구청사 건립에 필요한 재원을 적립 조성하기 위한 청사건립기금은 예치금 1291억 2026만원, 식품 위생수준 향상과 시설개선 사업 등을 위한 식품진흥기금은 융자금 지원 및 식품위해관리 등 사업비 3억 6626만원, 예치금 13억 1047만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세입·세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존경하는 고선재 의장님과 의원님 여러분!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은 사회복지 분야 등 법정 의무적 경비 증가에 따라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합리적인 재원 배분으로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도록 노력하였음을 널리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에는 구민들의 생활 불편을 덜고 안전을 강화하며, 구민을 위한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출한 예산안을 원안대로 의결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11월 15일 밝은미래국장 이재진
의장 고선재
이재진 밝은미래국장 수고하셨습니다.
안건
5.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이형준의원 외 4명 공동발의)
11시 23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5항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을 상정합니다.
이형준의원 나오셔서 제안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형준 의원
안녕하십니까? 이형준의원입니다.
지금부터 본의원 외 4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한 의안번호 제325호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에 대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는 「지방자치법」 제51조 및 「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 기본 조례」제48조에 근거하여 금번 제337회 제2차 정례회 기간 중 구정 업무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위하여 11월 27일, 12월 4일 이 두 날 본회의장에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을 요구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출석대상 공무원은「서울특별시 서초구의회 기본 조례」 제48조에 규정된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입니다.
이상으로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ㅇ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
(부록에 실음)

의장 고선재
이형준의원 수고하셨습니다.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다음은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한 안건을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안건
6.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11시 25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6항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상정합니다.
운영위원회 김지훈위원 나오셔서 심사결과를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지훈 위원
안녕하십니까? 운영위원회 김지훈위원입니다.
지금부터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한 의안번호 제300호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에 대해 심사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발의자를 대표하여 안병두의원의 제안설명이 있었으며, 제안이유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의 심의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함입니다.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심사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에 대한 심사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ㅇ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심사보고서
(부록에 실음)

의장 고선재
김지훈위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본 안건에 대하여 질의를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질의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이어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토론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토론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토론을 종결하겠습니다.
이어서 표결할 것을 선포합니다.
운영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다음은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심사한 안건을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안건
7.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8.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9.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
10.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11.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12.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
11시 28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7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8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9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 의사일정 제10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11항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12항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을 일괄 상정합니다.
행정복지위원회 하서영위원 나오셔서 심사결과를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하서영 위원
안녕하십니까? 행정복지위원회 하서영위원입니다.
지금부터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심사한 안건에 대하여 심사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심사보고드릴 안건은 총 6건으로 모두 구청장 제출 안건이며, 모두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88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상위법령의 근거 없이 주민등록번호 수집 규정을 둔 조문을 개정하여 신고인의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부조리 신고보상금 운영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일부 규정을 정비하고자 함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89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체육시설적립기금 존속기한 연장을 통해 위탁 공공체육시설의 노후화를 신속하게 개선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 환경을 제공하고자 함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0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은 공정무역의 기본이념과 지원·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구민들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시민의식 증진 등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을 위한 것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1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은 상위법령인 「국가정보화 기본법」이「지능정보화 기본법」으로 전부개정됨에 따라, 용어 및 조문을 정비하고, 지능정보사회 확대와 활성화를 위함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2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기금의 존속기한이 2024년 12월 31일 만료됨에 따라 그 기금의 존속기한을 연장하기 위함과 아울러 자구정정 등 법제처의 정비기준에 따라 각 해당 조문을 정비하기 위함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8호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은 문화예술 진흥과 그에 따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서초문화재단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위한 2025년도 서초문화재단에 대한 출연 동의를 받기 위함으로 토론자는 없었으며,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심사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행정복지위원회 소관 심사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ㅇ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심사보고서
ㅇ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심사보고서
ㅇ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 심사보고서
ㅇ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심사보고서
ㅇ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심사보고서
ㅇ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 심사보고서
(부록에 실음)

의장 고선재
하서영위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상정 안건에 대하여 일괄 질의를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질의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행정복지위원회 소관 안건에 대한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다음은 일괄 토론을 하겠습니다.
토론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토론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행정복지위원회 소관 안건에 대한 토론을 종결하겠습니다.
이어서 표결할 것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7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8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9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10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 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11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12항 행정복지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다음은 재정건설위원회에서 심사한 안건을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안건
13. 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
14. 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
11시 36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13항 만 나이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14항 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을 일괄 상정합니다.
재정건설위원회 안병두위원 나오셔서 심사결과를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병두 위원
안녕하십니까? 재정건설위원회 안병두위원입니다.
지금부터 재정건설위원회에서 심사한 안건에 대하여 심사보고드리겠습니다.
심사보고드릴 안건은 총 2건으로 모두 구청장 제출 안건이며, 2건 모두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4호 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은「민법」 및 「행정기본법」의 시행에 따라 법적, 사회적 기준을 통일하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만 나이가 표시된 조례를 정비하여 행정, 입법, 통일성 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의안번호 제297호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은 「지방재정법」제18조제3항에 따라 출연 전에 미리 지방의회의 의결을 받고자 하는 것으로 심사결과 만장일치 원안가결되었습니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 배부해 드린 심사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이상으로 재정건설위원회 소관 심사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 조)
ㅇ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 심사보고서
ㅇ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 심사보고서
(부록에 실음)

의장 고선재
안병두위원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상정한 안건에 대하여 일괄 질의를 하겠습니다.
질의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질의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재정건설위원회 소관 안건에 대한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다음은 일괄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토론하실 의원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토론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재정건설위원회 소관 안건에 대한 토론을 종결하겠습니다.
이어서 표결할 것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13항 재정건설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만 나의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사일정 제14항 재정건설위원회에서 원안가결한 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에 대하여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응답하는 의원 없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안건
15. 휴회의 건
11시 40분
의장 고선재
의사일정 제15항 휴회의 건을 상정합니다.
11월 16일부터 11월 26일까지 행정사무감사 및 상임위원회 활동을 위하여 휴회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없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의원 여러분, 전성수 구청장을 비롯한 관계공무원 여러분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회의를 마치고 제2차 본회의는 11월 27일 수요일 오전 10시에 개의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 41분 산회
○표결 결과

1. 회기결정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2. 회의록 서명의원 선출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3.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4. 서울특별시 서초구 2025년도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제안설명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5. 구청장 및 관계공무원 등의 출석요구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6.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7. 서울특별시 서초구 부조리 신고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8. 서울특별시 서초구 체육시설수익적립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9.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0.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보화 기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1. 서울특별시 서초구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비용 징수와 기금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2. 서초문화재단 출연 동의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3. 만 나이 정착을 위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조례 일괄개정조례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4.2025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출연 동의안(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15. 휴회의 건(재석의원 16인)-가결
찬성의원(16인)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출석의원(16명)
고선재 이현숙 박미정 오세철 신정태 오지환 김지훈 박재형 강여정 유지웅 안병두 김성주 안종숙 이형준 하서영 이은경
출석공무원(8명)
부구청장 김태명 밝은미래국장 이재진 주민생활국장 권미정 도시관리국장 오장환 안전건설교통국장 이인규 미래비전기획단장 최영근 보건소장 우선옥 의회사무국장 조성덕
출석전문위원(3명)
김성훈 최충열 김민희

질문제목

질문자

관련 내용

질문자

질문제목

질문회의록